[김대호의 경제읽기] 물류센터발 집단감염 확산…"높은 비정규직 비율 원인"<br /><br /><br />물류센터발 코로나19 지역감염이 확산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물류센터발 집단 감염 사태의 원인으로, 시민단체에서는 높은 비정규직 비율을 꼽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한 것을 두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특별 기자회견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 대한 제재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박사 모시고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시민단체에서 경기도 부천 쿠팡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의 배경에 높은 비정규직 비율을 꼽아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. 비정규직 근로자는 방역수칙을 지키기 어렵다는 건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이번에 집단 감염이 발생한 부천 쿠팡 물류센터 근무자 중 97%가 비정규직 근로자라던데 물류센터에 유독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쿠팡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의 최대 수혜 기업 중 하나로 꼽혔지만, 확진 환자가 나온 뒤 방역 수칙과 초기 대응이 적절치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. 쿠팡은 2018년 소프트뱅크의 투자를 받아 공격적으로 물류센터를 확대해왔는데 혹시 급격한 성장이 문제가 된 건 아닐까요?<br /><br /> 일본 2위 자동차업체인 닛산자동차가 한국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닛산의 한국 철수는 미쓰비시자동차와 스바루에 이어 세 번째라던데 한때 연간 판매량이 1만 대에 육박하지 않았나요? 철수를 결정하게 된 주요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닛산의 한국 시장 철수로 토요타와 혼다 등 국내에 진출해있는 일본 자동차 브랜드의 입지에도 영향이 있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닛산의 철수, 일본 차 등 국내 수입차 시장의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강행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예고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.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홍콩보안법 강행 시 고강도 '응징'을 예고한 상황인데요. 구체적으로 어떤 대중제재 카드를 꺼낼 거라 전망하시나요?<br /><br />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여부가 최대 관건으로 꼽히고 있는데 그간 홍콩은 어떤 혜택을 받아왔었나요? 홍콩이 특별지위를 잃게 되면 우리 수출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